본문 바로가기
한의학/경락

진술태양한수와 축미태음습토

by 兌蓮 2023. 4. 26.

태양한수와 태음습토는 물을 관장한다. 물이란 변화의 원천이자, 생명의 모체이고 정신의 부고이다.

물이 수승화강의 원리에 따라 위로 올라가면 차가운 물이 되고, 아래로 내려오면 탁한 습기가 되는데, 하늘을 말하는 태양에는 응고한 차가운 물인 한수가 존재하게 되고, 땅인 태음에는 습토가 존재하게 된다.

태음습토와 태양한수는 상하로 작용하여 상수相須라고 한다. 진술태양한수는 진토가 소장을 의미하고, 술토가 방광을 의미한다. 축미태음은 축토가 비를, 미토가 폐를 의미한다.

진토와 술토가 한수가 되는 원리로 수토합덕한 것을 의미한다. 군화와 상화의 두 개의 불로 가장 밝아지니 태양이라고 한다.

태양한수가 커질 수록 진술축미의 네 개의 토가 팽창하고 커진다.

태양이라는 말은 본체 면에서는 가장 작은 양이지만 현상 면에서 보면 가장 큰 양이다. 진술이라는 것은 수이지만 동남방에 위치한 후천팔괘의 상에서의 진이란 물이 아니라 가장 큰 양으로 보는 것이다. 이때의 태양이라는 것은 가장 큰 양으로 보이지만 사실은 진수의 작용으로 수가 최대분열을 일으킨 상인 것이다.

술이라는 것은 서북방에 있는 수이다. 그러나 이것은 사실상 진의 큰 양이 수축되어서 술에 와서 양이 최심부에 복장되어 있기 때문에 작게 보일 뿐이지만 사실은 그 실력이 가장 큰 양인 것이다. 그러므로 태양이라고 하는 것이다.

진술은 본래의 방위의 때는 토기로 작용했다. 그런데 이것이 대화작용으로 인해 돌연변화하니 진술토가 아닌 진술수가 되었다. 辰字의 개념은 용이라는 뜻과 변화무쌍함을 의미하고, 戌자의 개념에는 개라는 뜻과 정배간다는 의미가 있다. 이 글자의 상은 戊 + 一한 상을 취하고 있으니 무자는 무성하다는 뜻이 있고, 무의 뿌리는 戌자 속에 있는 一자에 있다는 상이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진술이라는 개념이 태양이라는 개념과 동일한 것을 볼 수 있다.  이처럼 육기의 운동이는 이와 같은 개념이 없는 것이 없지만, 진술처럼 물이 본으로 돌아가는 상이 명백히 나타나는 것이 없다.

한수라는 것은 수의 본성이 응고하는 속성이 있다는 말이다. 수가 진토에 이르면 그 상이 비록 가장 큰 양처럼 보인다고 해도 그 본성은 한수라고 하는 응고하는 수라는 것을 표현한 것이다.



진술태양한수 - 태양인


태양한수는 진토와 술토를 의미하는 소장과 방광에 의해 주관되고 있고, 관상적으로는 방광의 경우 인당과 비공을 보고, 소장은 인중과 전택, 관료를 본다.

폐대간소의 체질로 카리스마가 강한 사람이다.

계절로는 여름이다.

방광
콧구멍은 방광을 의미하는데, 들창코는 방광이 약하고 불안감을 더 잘느끼고 소변을 잘 지린다. 머리에 머물고 있는 양기의 열기를 방광의 한수가 씻어내린다. 한수의 기운이 얼어붙을 정도로 무서움을 당하면 방광의 기능이 교란되므로 오줌을 흘린다.

소장
소장은 위에서 내려온 음식물을 정미롭게 소화하는 작용과 흡수하여 청탁을 분별해 정미로운 기운과 혈을 간과 심장으로 보낸다.


축미태음습토 - 태음인

축토는 비장, 미토는 폐다. 폐는 이마를 보고, 비는 볼과 코를 본다. 태음인은 대체로 몸이 무겁고 배와 둔부가 크다. 간대폐소(눈이 크고 코가 작다)의 체질로 저축력이 많은 음적인 사람이다.

계절로는 겨울이다.


폐는 의로움의 장기이고 백이 머무는 곳이다.  숨을 쉬고 휴식을 취하며 일정한 법에 머물로 안주하며 시장의 문물이 교환되는 곳으로서 철저한 법칙을 따르는 타협의 상징으로 상전지관이라고 한다.


비장을 곡식과 쌀을 저장하는 곳이라 해서 창름지관이라고 한다. 차분히 앉아서 사고하는 마음이 비장의 본성이다.





'한의학 > 경락'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낙혈-원혈의 에너지 흐름  (0) 2023.04.27
경락의 음양관계의 균형  (1) 2023.04.27
장부 경락의 음양 균형  (2) 2023.04.27
십이경락(12경락)의 설명  (0) 2023.04.25
경락과 혈자리란 무엇인가?  (0) 2023.04.25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