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여기가 연화세계다
검색하기

블로그 홈

여기가 연화세계다

amitabha.tistory.com/m

어떻게 살 것인가

구독자
0
방명록 방문하기

주요 글 목록

  • 맥의 방향 오운은 10간을 쓰니 군화는 그 운을 담당하지 않는다. 육기는 군화로 존귀함을 삼고 오운은 습토로 존귀함을 삼으니 갑기토운이 남정이 된다. 대개 토는 성수로 금, 목, 수, 화를 관통하고 중앙에 자리하니 임금의 존귀함이 남쪽을 보고 정령을 행하는 것이다. 나머지 4개의 운이 신하로써 섬겨 북면하여 명령을 받으니 남정 북정의 구별이 있으니 사람의 맥이 거기에 응한다. 갑기의 해에는 토운이 남면을 향하니 맥을 논하면 촌맥이 남쪽에 있고, 척맥이 북쪽에 있게 된다. 소음이 사천하면 양촌맥이 침세하고 소음이 재천하면 양척맥이 침세하게 된다. 을병정무경신임계의 해는 목화금수의 네 운이 북면하여 촌맥이 남쪽에 있고 척맥이 북쪽에 있게 된다. 소음이 사천하면 양척맥이 침세하고 소음이 재천하면 양촌맥이 침세하게 된다... 공감수 0 댓글수 0 2023. 5. 27.
  • 육기와 객기의 관계 천기인 객기와 지기인 주기가 서로 교류함에 객기의 한, 서, 조, 습, 풍, 화가 사시의 주기와 다른 것은 객기가 주기를 임하는 것이 한결같지 않아서 그렇게 된다. 궐음이 사해를 주관하는 것은 궐음이 목이고 목은 해에서 생기며, 해에서 정화가 되고 사에서 대화가 되기 때문이다. 묘목이 실제 목기운이지만, 양명금의 대화를 받고 있으니 생하는 해에서 정화가 되고 사에서 이에 순응하여 대화가 된다. 소음이 자오를 주관하는 이유는 소음이 군화의 자리이며, 바로 정남방의 이괘의 자리를 얻고 있으니 오에서 정화가 되고 자에서 대화가 되는 것이다. 태음이 축미를 주관하는 것은 태음이 토가 되고 토가 중궁이며 곤이 있는 서남방에 붙어 있으니 미의 자리에 있다. 그래서 미에서 정화가 되고 축에서 대화가 된다. 소양이 인.. 공감수 0 댓글수 0 2023. 5. 27.
  • 북두칠성과 지기의 주기 지기는 고요하여서 일정한 자리를 지키며 봄에 따뜻하고 여름에 덥고 가을에 서늘하고 겨울에 추운 것이 해마다 변하지 않는다. 사계절은 육기의 주기가 관장한다. 궐음풍목으로 시작하여 봄기운이 시작하고, 소음군화 소양상화, 태음습토, 양명조금, 태양한수의 순서로 계절이 변화한다. 궐음풍목의 1지기에는 춘분전 60일을 주관하며 북두칠성의 자루는 축방향의 중심에서 묘방향의 중심까지 이르니 이때 바람이 불게 된다. 춘분후 60일은 소음군화의 2지기니 두병이 묘방의 정중앙에서 사방의 중간까지 이르니 온화한 기운이 행한다. 소양상화는 하지의 앞뒤 30일을 주관하여 3지기가 되니 두병이 사방의 정중앙에서 미방의 중앙까지 이르니 이때 몹시 뜨거운 기후가 행한다. 태읍습토의 4지기는 추분전 60일을 주관하는데, 두병이 미방.. 공감수 0 댓글수 0 2023. 5. 27.
  • 육기의 개념 육기도 오운의 경우와 같이 그 기본은 목화토금수의 오행으로 이루어져 있다. 그 성질에 있어서는 아무런 차이가 없다. 그러나 오운과 육기는 변화하는 면에서 차이를 보인다. 그것은 지구가 25도 7분 가량 경사져 있으므로 인해 인신상화(寅申相火)라는 불이 하나 더 불어나게 되면서 양기의 과항을 초래하게 되었다. 하늘은 정음정양이나 땅은 억음존양이라고 하지만, 쉽게 말해 땅은 양이 과항되었다라고 보면 된다. 이로 인하여 인간은 죽음이라는 원초적인 비극을 누려야 하는 것이며, 인간의 육신도 더해진 불에 의해서 항상 들볶이고 원과 한을 만들어간다. 육기의 방위는 인묘목, 사오화, 신유금, 해자수, 진술축미토로 오행의 개념과 다를 바가 없다. 이러한 방위는 그 자체로서는 아무론 변화작용이랄 것이 없다. 하지만 육기.. 공감수 0 댓글수 0 2023. 4. 26.
  • 우주만물을 이루고 있는 오행의 개념 목화토금수라는 오행은 나무나 불과 같은 자연형질 자체를 말하는 것이 아니지만, 그것을 배제하지 않는다. 오행이라는 개념은 상象과 형形을 모두 포함하여 말하고 있는 것이다. 行이라는 한자는 일왕일래의 오고감을 표현하고 있는 것으로 목화토금수의 기운이 일왕일래하며 우주만물을 이루고 있음을 말하고 있다. 서양과학과 철학은 상과 형의 두 가지 측면에서 형에 주안점을 두게 됨으로서 있는 그대로의 자연의 실상을 보지 못하고, 단편만을 바라보는 실수를 하게 된 것이다. 대자연의 본질을 관찰해보면, 이것은 형도 기도 아닌 것이 분열과 종합을 영원히 반복하고 있는 우주변화의 일대환상에 불과한 것이므로 그 운동하는 모습에는 영원한 항구가 없고 다만 감응과 항구가 반복하는 것이라는 것을 직관하고 움직이는 자연 그대로 탐색하.. 공감수 0 댓글수 0 2022. 8. 26.
  • [육십갑자] 천간 갑목甲木의 이해 10천간의 첫째 글자인 갑목은 갑옷 갑자로 새싹이 싹트면서 아직 씨앗 껍질을 뒤집어 쓰고 있는 형상이고, 밭 가운데에 뿌린 씨앗이 땅밑으로 뿌리를 내리는 뜻을 형상화하고 있다. 갑목은 양목으로서 사계절에서는 봄에 비유할 수 있고, 싹이 나는 것이므로 처음을 뜻하며 갑목이 솟아오를 때의 소리를 천둥이라고 하니 하늘에서는 벼락과 천둥, 청룡 등을 상징하고 고집이 세며 자기만의 세상에 빠져사는 것을 의미하기도 한다. 갑목 키워드 마른나무, 혹은 죽은나무, 대나무, 우두머리, 시작과 개척, 대들보, 기둥, 고층건물, 석탑 간장, 신경, 팔다리, 담, 쓸개, 수염, 머리두뇌, 머리카락 곡적 운동성, 어질인 이러한 상징적인 키워드들의 조합으로 인해 봄처럼 생동하는 운동성이 강하므로 개척하고 시작하는 것을 좋아하니 .. 공감수 1 댓글수 1 2022. 8. 24.
  • 우주변화의 원리 - 서문 지구와 일월은 아무런 사심도 없이 다만 돌기 위하여 돌아가고 있는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인간은 사리사욕의 함정에서 헤매고 있다. 오히려 무정한 금석초목마저 자연과 같이 호흡하고 있지 않은가? 인간은 만물의 영장이라면서 정없는 자연보다도 오히려 인색한 것이다. 이것이 인간에 주어진 유일한 시련이므로 철학은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수천 년의 세월을 소모했건만 아직까지도 자연 그대로의 신비로써 남아 있는 것이다. 사람들은 인생 속에서 어떤 목적과 행복을 찾겠다고 하면서 이리저리 분주하게 움직이지만, 언제나 텅빈 마음과 우울함을 어찌할 수는 없다. 그러나 산천초목이 순환하고 자연과 함께 호흡하고 있는 모습을 보면 이토록 완벽한 조화가 없는 것이다. 인간의 능력이란 것은 다만 수동적이며 묘사적이다. 다시.. 공감수 0 댓글수 0 2022. 8. 24.
    문의안내
    • 티스토리
    • 로그인
    • 고객센터

    티스토리는 카카오에서 사랑을 담아 만듭니다.

    © Kakao Cor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