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맥(任脈)
임맥은 독맥 등과 함께 기경팔맥의 하나이다.
12경락이 아님에도 독맥과 더불어서 함께 언급하는데, 그 만큼 중요하기 때문이다.
임맥은 흉복부로 유주하는 경락들과 이곳에 위치한 경혈을 취혈하는 가장 기본이 되는 이정표이다. 특히 족양명 위경랑은 임맥을 공부하지 않고 접근할 수 없다.
임맥은 회음에서 출발해 흉복부와 후두로 이어지는 인체의 전면부 정중앙을 운행한다. 그러면서 좌우 양측의 족삼음 경맥인 신경락, 간경락, 비경락과 연결되어 전신의 음경맥을 조정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통해서 정精, 혈血, 진액 등을 조절하기 때문에 '음맥지해' 혹은 음액의 바다라고도 한다.
임맥은 24개의 경혈로 이루어져 있고, 유주 방향은 회음혈에서 출발해서 입술 아래 승장까지 위쪽을 향한다.
그러다가 하복부에 이르러 자궁과 연결이 되므로 여성의 월경과 대하와 관계가 깊다.
또한 기경팔맥인 충맥과 함께 임신을 주관한다.
그래서 임맥은 여자의 경맥이라고 하는 하는 것이고, 임맥의 일부 경혈은 강장작용과 정신질환을 치료하는데 탁월한 효과가 있다.
임맥의 유주
회음부에서 기하여 외음부를 들렸다가 음모제를 상행 복부 정중선상 제를 통하여 후두까지 올라가 턱에서 안면으로 나와서 승장에서 끝난다.
승장에서 둘로 나뉘어 입술을 돌아 은교에서 독맥과 만나고 안면으로 나와 눈 밑 승읍에서 위경과 만난다.
회음 - 곡골 - 중극 - 관원 - 석문 - 기해 - 음교 - 신궐 - 수분 - 하완 - 건라 - 중완 - 상완 - 거궐 - 구미 - 중정 - 전중 - 옥당 - 자궁 - 화개 - 선기 - 천돌 - 염천 - 승장